맨위로가기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는 초등부, 중학부,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부문별 경기 결과와 함께, 세계 기록, 한국 기록, 그리고 각 연령별 대회 기록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일반부 결승에서는 신우철이 대회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 기록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세계기록샤를 아믈랭1:23.454 초캐나다 몬트리올2009년 1월 18일
한국기록안현수1:24.385 초네덜란드 헤이렌베인2007년 11월 25일
대회기록(일반)신우철1:26.920 초대한민국 창원2010년 2월 4일
대회기록(대학)신우철1:26.380 초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고등)곽윤기1:26.200 초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중학)박세영1:27.910 초대한민국 성남2009년 2월 12일
대회기록(초등)김도겸1:34.730 초대한민국 성남2006년 2월 4일


2. 1. 세계 기록

샤를 아믈랭(캐나다)이 2009년에 세운 1분 23.454초를 기록한다.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세계기록샤를 아믈랭1:23.454 초캐나다 몬트리올2009년 1월 18일
한국기록안현수1:24.385 초네덜란드 헤이렌베인2007년 11월 25일
대회기록(일반)신우철1:26.920 초대한민국 창원2010년 2월 4일
대회기록(대학)신우철1:26.380 초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고등)곽윤기1:26.200 초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중학)박세영1:27.910 초대한민국 성남2009년 2월 12일
대회기록(초등)김도겸1:34.730 초대한민국 성남2006년 2월 4일


2. 2. 한국 기록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세계기록 샤를 아믈랭1:23.454 초 캐나다, 몬트리올2009년 1월 18일
한국기록 안현수1:24.385 초 네덜란드, 헤이렌베인2007년 11월 25일
대회기록(일반) 신우철1:26.920 초 대한민국, 창원2010년 2월 4일
대회기록(대학) 신우철1:26.380 초 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고등) 곽윤기1:26.200 초 대한민국,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중학) 박세영1:27.910 초 대한민국, 성남2009년 2월 12일
대회기록(초등) 김도겸1:34.730 초 대한민국, 성남2006년 2월 4일


2. 3. 대회 기록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세계기록샤를 아믈랭}}1:23.454 초 몬트리올2009년 1월 18일
한국기록안현수1:24.385 초 헤이렌베인2007년 11월 25일
대회기록(일반)신우철1:26.920 초 창원2010년 2월 4일
대회기록(대학)신우철1:26.380 초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고등)곽윤기1:26.200 초 강릉2008년 2월 21일
대회기록(중학)박세영1:27.910 초 성남2009년 2월 12일
대회기록(초등)김도겸1:34.730 초{{KOR/Charles Hamelin영어 성남2006년 2월 4일


3. 경기 결과

3. 1. 초등부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초등부 경기에서는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 경기가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총 9개 조가 참가하여 각 조 상위 선수들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서울특별시의 권재용은 예선 1조 1위(1:47.560), 준준결승 4조 1위(1:45.630), 준결승 1조 1위(1:37.150)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서울특별시의 장현우는 예선 5조 1위(1:40.000), 준준결승 1조 2위(1:50.880), 준결승 2조 1위(1:41.040)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서울특별시박장혁은 예선 4조 1위(1:49.440), 준준결승 3조 1위(1:49.440), 준결승 2조 2위(1:41.260)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도이은혁은 예선 6조 1위(1:44.380), 준준결승 2조 1위(1:48.840), 준결승 1조 2위(1:37.430)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서울특별시의 장현우가 1:44.010의 기록으로 금메달, 서울특별시박장혁이 1:44.240의 기록으로 은메달, 서울특별시의 권재용이 1:44.390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도이은혁은 1:57.770으로 4위를 기록했다.

순위이름지역시간
금메달
장현우서울특별시1:44.010
은메달
박장혁서울특별시1:44.240
동메달
권재용서울특별시1:44.390
4이은혁경기도1:57.770


3. 2. 중학부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중학부 경기에서는 예선, 준결승, 결승 경기가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김민석(서울특별시), 박태언(경기도), 홍재욱(서울특별시), 윤수민(부산광역시) 등이 주요 선수들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김민석이 1분 30초 580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고, 박태언이 1분 31초 060으로 은메달, 홍재욱이 1분 31초 390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윤수민은 1분 33초 520으로 4위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지역시간비고
1김민석서울특별시1:30.580
2박태언경기도1:31.060
3홍재욱서울특별시1:31.390
4윤수민부산광역시1:33.520


3. 3. 고등부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고등부 경기에서는 경기도박세영이 1:30.130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경기도서이라는 1:30.330으로 은메달, 경기도김도겸은 1:30.720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서울특별시차민규는 4위를 기록했다.

예선은 총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3명의 선수가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서울특별시 김병준, 경기도 임경원, 서울특별시 김진태, 경기도 서이라, 서울특별시 소한재, 경기도 조진형, 서울특별시 윤성필, 경기도 김도겸, 대구광역시 이창현, 서울특별시 김상헌, 경기도 박세영, 서울특별시 차민규 등이 각 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준준결승에서는 경기도 서이라, 경기도 박세영, 서울특별시 차민규, 경기도 김도겸, 서울특별시 김진태, 서울특별시 소한재, 경기도 조진형, 대구광역시 이창현이 각 조 상위 3명 안에 들어 준결승에 진출했다. 서울특별시 김병준서울특별시 김상헌은 실격 처리되었다.

준결승 1조에서는 경기도 김도겸서울특별시 차민규가 결승에 진출했고, 경기도 조진형과 서울특별시 김진태는 탈락했다. 2조에서는 경기도 서이라경기도 박세영이 결승에 진출했고, 대구광역시 이창현서울특별시 소한재는 탈락했다.

결승에서는 경기도박세영이 1위, 경기도서이라가 2위, 경기도김도겸이 3위, 서울특별시차민규가 4위를 기록하였다.

3. 4. 대학부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대학부 경기 예선에서 한승수(충청남도)는 1분 30초 410, 이한빈(경기도)은 1분 30초 600, 배대건(강원도)은 1분 30초 770의 기록으로 각 조 1, 2, 3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강전형(서울특별시)과 곽윤기(서울특별시)는 기권했다. 준결승 1조에서는 한승수가 1분 28초 830, 이한빈이 1분 29초 090으로 결승에 진출했고, 배대건과 김성한은 탈락했다. 2조에서는 송명호(충청남도)가 1분 29초 060, 강민수(경기도)가 1분 31초 430으로 결승에 진출했고, 신준연(충청남도)과 유동균(서울특별시)은 실격했다.

결승에서는 한승수가 1분 29초 400으로 금메달, 이한빈이 1분 29초 580으로 은메달, 송명호가 1분 29초 770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강민수는 4위를 기록했다.

순위이름지역시간비고
1한승수충청남도1:29.400
2이한빈경기도1:29.580
3송명호충청남도1:29.770
4강민수경기도1:29.910


3. 5. 일반부

제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쇼트트랙 남자 일반부 1000m 경기는 예선, 준결승, 결승 순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은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1조에서는 유기석(강원도)과 조수훈(경기도)이, 2조에서는 신우철(경기도)과 이성훈(강원도)이, 3조에서는 김찬욱(서울특별시)과 이동규(전라북도)가, 4조에서는 김범석(경기도)과 조남규(서울특별시)가 각각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은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과 3위 중 기록이 빠른 1명이 결승에 진출했다. 1조에서는 유기석과 김범석이, 2조에서는 신우철, 이성훈, 조수훈이 결승에 진출했다. 2조 3위를 기록한 조수훈은 1조 3위 조남규보다 기록이 빨라 결승에 진출했다. 2조의 김찬욱은 실격 처리되었다.

결승에서는 신우철이 1분 26초 630의 대회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성훈이 은메달, 조수훈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범석과 유기석은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순위이름지역시간비고
1신우철경기도1:26.630대회신기록
2이성훈강원도1:27.590
3조수훈경기도1:27.820
4김범석경기도1:27.980
5유기석강원도1:30.1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